책소개
이 책은 기후위기 시대, 생태환경을 주제로 하는 한국신학계의 학술적 논의와 교계의 실천적 논의를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방법을 취하는 단편 연구논문 성격을 띈다. 참고로, 이 단편 연구논문은 2022년 한국교회총연합회 연구비를 지원받았다.
이 책이 신학적 논의를 다룰 때에는 다만 이론적으로만 다루지 않으며, 전체 한국교회 현장과의 연관성을 최대한 고려한다. 반면 교회 현장에서 진행된 각종 활동들을 다룰 때에는 개별 교회들의 여러 활동들을 단순히 취합하는 차원이 아니라, 기후위기에 관한 신학적 논의와 이슈의 중요성 및 신앙고백의 면에서 주목할 만한 활동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차원에서 서술한다. 이 책은 학술논문, 온라인 문서, 기독언론 기사, 기출간ㆍ미출간 환경교육자료들은 물론이거니와 국내외 여러 교단 및 기독교 조직들이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를 충분히 활용하여 집필했다.
목차
1장 서론 >> 5
1.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의의 5
3. 연구의 방법 및 전개 8
2장 환경문제에 대한 한국교회의 관심 >> 12
1. 신학적 관심 12
2. 교회적 관심 14
3. 한계 및 의의 19
3장 환경문제에 대한 세계교회의 동향 >> 23
1. 기후변화 취약지역에 있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교회들 24
2. 탄소중립 관련지침을 상세히 안내하는 잉글랜드 성공회 26
3. 정부 및 시민사회와 함께하는 독일 개신교협의회 28
4. 기후변화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인식하기 시작한 미국교회 29
가. 미연합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USA], PCUSA) 29
나. 미연합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 UMC) 31
다. 남침례교회(Southern Baptist Church, SBC) 32
4장 기후위기시대를 향한 ‘빛과 소금’으로서의 기독교적 가치 >> 35
1. 평화: “좋은 소식을 전하며 평화를 공포하며”(사52:7) 35
2. 정의: “이웃들 사이에 정의를 행하며”(렘7:5) 37
3. 희망: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희망)이 넘치게 하시기를”(롬15:13) 40
4. 사랑: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요13:34) 44
5. 함께 삶(공존): “내가 내 언약을 너희와 너희 후손과 너희와 함께한 모든 생물[…]에게 세우리니”(창9:9-10) 46
6. 창조: “너희는 눈을 높이 들어 누가 이 모든 것을 창조하였나 보라”
(사40:26) 48
5장 교회와 탄소중립, 그 필요성과 당위성 >> 51
1. 필요성 51
2. 당위성 혹은 전략 54
6장 탄소중립을 위한 교회의 실천방안 >> 57
1. 에너지 생산 및 소비 58
2. 교통(수송) 61
3. 먹거리 62
4. 쓰레기 65
5. 건물/건축 68
6. 탄소흡수원 69
7. 환경교육 72
8. 예배와 설교 75
7장 결론 >> 77
1. 연구 요약 79
2. 연구의 의의와 향후 전망 81
※ 참고문헌 >>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