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봉사하는 사람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 : 2,000명의 청년들과 함께 50억 원을 기부한 봉사 이야기
- 저자
- 이진혁 저
- 출판사
- 설렘(SEOLREM)
- 출판일
- 2024-06-30
- 등록일
- 2024-12-12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9MB
- 공급사
- 예스이십사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세상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봉사(奉仕)’활동에는 여러 가지 편견과 질문이 따라다닌다. 돈 있고 시간 있으니 취미생활 하듯이 하는가 보네. 중고생들이 점수 따려고 하는 거 아닌가. 돈 한 푼 안 되는 일을 왜 하지? 모금하고 기부한 돈은 정작 필요한 사람에게는 안 가는 거 아닌가? 그러나 세상에는 아직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있다. 도와줄 일손은 여전히 부족한데, 상호 간 사회적 신뢰지수는 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돕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그리고 다 같이 행복해진다. 다양한 방식으로 누구나 도울 수 있다. 삶의 막다른 골목길 끝에 다다른 사람들에게는 그 어떤 작은 도움도 큰 힘이 된다. 돈이 있으면 돈으로 돕고 자신이 가진 재능으로도 돕고 젊고 건강만 하면 몸으로 돕는다. 2,000명이 넘는 청년들과 함께 수천 시간의 봉사를 하며 겪은 생생한 이야기들이 있다. 봉사는 어떤 ‘한 사람’을 돕는 일이 아니라 우리 사회구조를 조금 더 지속가능한 형태로 바꾸고 빈부격차와 이념갈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일이다. 하지만 봉사하는 몇 사람의 힘만으로 그게 가능할까? 그래서 저자는 봉사를 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기를 바란다. 그래서 도와야 할 사람이 줄고, 사회문제가 더 많이 해결되었으면 하고 바란다. 이 책을 읽고 부디 더 많은 사람들이 봉사자가 되기를.
저자소개
중학교 때 가정이 해체된 이후,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독학으로 영화를 공부하여, 27세가 되던 해 EBS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면서 감독으로 데뷔하였다. 비인기종목 장애인 코치의 이야기를 다룬 그의 영화 [링]은 2013년에 개봉하고 KBS에서도 방영되었다. 그는 이후 고졸 검정고시를 치르고 입시에 도전하여 32세의 나이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그가 재학 중 설립한 봉사동아리 리듬오브호프는 200여 명의 소속 봉사자들과 함께 저소득 환자들을 위한 모금캠페인을 벌여 480여 환자 가정의 수술비와 생계비로 약 50억 원을 마련하여 전액 전달하였는데 이는 대학교 동아리 역사상 전례가 없던 일이었다. 그는 고등교육혁신원에서 사회혁신가로 선정되었으며, 사랑의열매, 구세군, 한국어린이난치병협회, 아이들과미래, 한국한부모가족사랑회, 필리핀 교육청 등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또한 봉사동아리연합회의 초대 회장을 맡아 2년간 운영하며 신촌 지역의 23개 봉사동아리와 2,000여 명의 봉사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 구축에도 힘을 쏟기도 하였다. 현재는 비영리법인 리듬에서 사회복지사로 근무하면서 재난적 의료비 환자와 저소득 위기가정 구호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봉사 : 받들어 섬기다 41. 봉사의 시작서울시 관악구 봉천4동 19노이즈캔슬링 24재능기부를 시작하다 26세준이의 작고 여린 몸에 생긴 엄마의 죄책감 29봉사는 감성이 아닌 기능의 이야기 372. 예술 봉사뇌종양을 앓고 있는 소녀 경희 45희망으로 춤추다, 봉사동아리 ‘리듬오브호프’ 50봉사활동, 스펙이 되다 54따뜻한 햇살이 두렵기만 한 다슬이의 하루 59빛이었던 성록 씨의 마음의 빚 63끼 많은 리듬 봉사자들의 활약 703. 봉사들봉사활동의 첫 시작 75첫 해외 봉사 : 필리핀을 삼킨 슈퍼태풍 하이옌 79티끌의 힘이 태산의 힘으로, 봉사동아리연합회 89의미 있는 손길, 의청과 아우린_DB의 봉사활동 93통통 튀는 플리마켓 봉사동아리 ‘봉봉’ 96지구의 청소부, 환경보호 동아리 ‘연그린’ 98지연·학연으로 똘똘 뭉친 중장년층 사회인 봉사동아리 100동병상련의 위대한 힘, 당사자 자조모임 1044. 모금과 기부봉사활동 이면의 또 다른 고충 109리듬, 방송을 타다 117우리의 기부금은 어디로 가는가? 121빈곤의 사회학 1255. 취약계층 봉사해를 잃은 해바라기, 간호조무사 숙경 씨 133장애와 치매의 돌봄은 ‘현실’이다 141노인을 위한 나라, 그날이 오기를 144유아차를 탄 강아지 1496. 특이 봉사가장 위대한 이름의 봉사, 가정위탁 155유토피아적이기보다는 아포칼립스적인 봉사의 세계 161나랏일이 봉사로 이어진 민주평통자문회의 169차별과 경멸의 시선받이, 가난 174씁쓸한 유튜브 알고리즘의 효과 1767. 봉사의 이면사람이 아닌 ‘사랑’을 위한 봉사 181시대를 읽지 못한 착오적 봉사 185두 번째 해외 봉사 : 종교에 기반한 봉사 VS 탈법적인 봉사 188아동의 생존권을 위해 아빠를 죽이다 196사회적 약자의 두 얼굴 202에필로그 이별 207